이미테이션 게임의 한계 With ChatGPT
이미테이션 게임, 즉 튜링 테스트는 인공 지능의 인간적인 지능을 평가하는 테스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튜링 테스트와 관련하여 제기된 여러 가지 비판점과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ChatGPT와 연결된다.
1. 표면적인 학습: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가 인간처럼 "대화"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기계가 실제로 이해하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학습한 데이터를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ChatGPT 역시 마찬가지로 특정 주제나 문장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대량의 데이터에서 학습한 패턴에 기반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이미테이션 게임과 이를 바탕으로 한 ChatGPT는 스스로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해서 학습하고, 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처럼 개인의 경험, 생각, 의견, 가치관 등을 표현하지 못한다. 이것이 가장 큰 한계라 할 수 있다.
2. 컨텍스트의 부재: ChatGPT는 종종 주어진 질문의 바로 이전의 몇 가지 메시지만을 기반으로 응답을 생성한다. 이는 튜링 테스트에서의 한계와 같은 맥락이며, 기계가 진정한 "의식"이나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테이션 게임과 ChatGPT는 생각을 하는 능력이 없기에 어떤 의도를 가지지 못한다. 인간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의도나 목적을 가지고 하는데, 인공지능은 그렇지 못하다. 이것이 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3. 실용적인 의미 vs. 근본적인 의미: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다고 해서 기계가 인간과 동일한 지능이나 의식을 가진 것은 아니다. ChatGPT 역시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인간의 감정, 동기, 경험과 같은 깊은 차원의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는 인공지능이 연산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산은 사칙연산을 하는 산술연산과 예, 아니오를 판단하는 논리 연산이 있다. 이 말은 ‘오늘 뭐 해?’와 같은 질문에 답변을 못 하는 것이다. 이 질문에는 개인마다 다른 답을 할 수 있는데 인공지능이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4. 잘못된 평가: 튜링 테스트는 기계의 지능을 평가하는 완벽한 기준이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문화나 지역의 지식에 의존하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테스트의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 ChatGPT 역시 편향된 데이터나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 윤리적 문제: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인공 지능은 인간과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할지, 그리고 인공 지능의 권리와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ChatGPT와 같은 고도로 발전한 모델이 사회에 통합될 때 이러한 윤리적 문제는 더욱 중요해진다.
결국, 이미테이션 게임과 ChatGPT는 인공 지능의 현재 상태와 한계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둘 다 인간의 지능과 의식의 근본적인 본질을 완벽하게 반영하거나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이 말을 바꿔 말하면 인공지능 시대에 여전히 인간이 글을 쓰는 능력처럼 인간의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튜링 테스트가 chatGPT에 끼친 영향 (0) | 2023.08.28 |
---|---|
자연어 처리의 한계는 (0) | 2023.08.23 |
인공지능과 이미테이션 게임의 관계 (0) | 2023.08.21 |
ChatGPT와 이미테이션 게임의 관계 (0) | 2023.08.14 |
인공지능이 연산 외의 작업을 못하는 이유는?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