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튜링 테스트가 chatGPT에 끼친 영향

About AI

by miracleai 2023. 8. 28. 14:36

본문

반응형

튜링 테스트가 chatGPT에 끼친 영향

튜링 테스트는 앨런 튜링이 1950년에 제안한 인공 지능의 평가 방법으로, 기계가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테스트이다. 튜링 테스트라는 말은 후대에 붙은 이름이고 그가 붙인 이름은 흉내 게임 즉, 이미테이션 게임이다. 튜링의 논문에 나오는 용어도 이미테이션 게임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개봉한 튜링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이라는 이름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튜링 테스트는 인간 평가자가 기계와의 대화를 통해 대화 상대가 기계인지 인간인지 구별할 수 없을 때, 해당 기계는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튜링 테스트는 방식으로 ChatGPT와 같은 AI 모델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1. 목표 설정: 튜링 테스트는 많은 AI 연구자들에게 목표나 벤치마크 역할을 했다. 인간처럼 대화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 중 하나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계속되었다. 

인공지능의 연구의 기반이 된 것이 튜링의 연구였고, 1948~1953년 사이 나온 그의 논문이 인공지능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2. 자연어 처리의 중요성: 튜링 테스트의 핵심은 자연어 대화의 이해와 반응이다. 이 테스트의 존재로 인해 자연어 처리(NLP) 분야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ChatGPT와 같은 고도화된 NLP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반응형


이미테이션 게임, 즉 튜링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바로 기계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배울 때 그 언어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 그 나라 사람과 쉽게 대화를 하듯이 기계가 인간을 흉내 내려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자연어 처리’라 부른다.

3. 인간처럼 생각하는 AI 연구: 튜링 테스트는 단순히 대화 능력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기계가 인간처럼 복잡한 추론과 생각을 할 수 있는지도 평가의 핵심이다. 이로 인해 AI 연구에 있어서 인간의 생각과 추론 과정을 모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물론 지금의 인공지능은 인간의 생각과 그대로 흉낸지는 못하지만 ChatGPT가 불을 지핀 것은 사실이다.

튜링이 이미테이션 게임을 제안한 것도 ‘생각하는 기계’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인 것을 감안하면 튜링테스트가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연구의 기초가 된 것이다.완벽하지는 

튜링 테스트라고 부르는 이미테이션 게임은 인공 지능 연구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튜링테스트의 원리가 ChatGPT 구현의 기초가 되었다. 튜링 테스트의 기본 원리와 ChatGPT의 기본 원리는 동일하다는 점에서 튜링 테스트가 없었다면 ChatGPT 구현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즉, 튜링 테스트가 없었다면 지금의 ChatGPT도 없었을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