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고객용 챗봇 서비스에 도입한다. 이어 업무 전반에 AI 에이전트를 확산하고 B2B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U+(대표 황현식)는 8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인 ‘익시(ixi)’ 기반의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소개하고 '챗 에이전트' 4종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익시젠은 LG AI연구원의 파운데이션 모델 '엑사원'을 기반으로 LGU+의 통신 및 플랫폼 데이터를 학습한 맞춤형 전문 sLM이다.
이날 공개한 챗 에이전트 서비스 4종에는 ▲U+상담 에이전트 ▲장애상담 에이전트 ▲유독(U+ 구독) AI 상품추천 에이전트 ▲U+비즈마켓 솔루션 안내 에이전트 등이 포함됐다. 하반기에는 너겟 요금제 상담, SOHO(소상공인) 기업 고객 상담을 위한 챗 에이전트도 선보일 예정이다.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면 기존 단순 응답이 아닌, 복합적인 상황 대응이 가능하다. 즉 ▲해외 방문 일정을 선택하면 챗봇이 최적 요금제를 추천하거나 ▲로밍 오류 발생 시 스마트폰별 해결 방법을 영상으로 안내하고 ▲입국 후에는 결제요금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등의 식이다.
성준현 LGU+ AI·데이터프로덕트 상무는 "챗 에이전트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상담사 없이 에이전트에서 답변 처리를 끝낼 수 있는 것"이라며 "챗GPT와 자연어처리(NLU)를 사용해 답변 처리를 효율화했다"라고 설명했다.
챗 에이전트 서비스에는 먼저 오픈AI의 '챗GPT'를 적용한다. 이어 연내 익시젠을 적용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 NLU(자연어이해)에 익시젠을 더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택해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이 과정에서 챗GPT나 익시젠 등 언어모델의 클라우드 비용 절감을 위해, 바로 답할 수 있는 간단한 질문에는 NLU를 사용한다. 추론이 필요한 복잡한 질문에만 챗GPT나 익시젠 등을 연결한다는 설명이다.
성준현 상무는 "정확한 수치를 밝히기는 어렵지만, 상담사로 연결되는 비율이 많이 줄었다"라며 "모든 트래픽을 다 LLM으로 처리하면 비용 부담이 크고 것은 환각 효과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또 이번에 발표한 에이전트 4종은 고객 서비스용이지만, 향후 업무에 사용하는 워크 에이전트와 모바일 에이전트 등으로 확장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모바일, AICC, IPTV, 구성원 업무 지원 등 업무 전 영역에 해당한다. 이후에는 B2B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환각과 개인정보보안에 대한 대비책도 밝혔다.
검색 증강 생성(RAG), 세이프티 레이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기술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또 학습데이터는 LGU+ 고객 상담내용에서 개인정보를 제거해 사용했으며, 엑사원 내 데이터의 고객 개인정보를 학습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성준현 LGU+ 상무는 “이번에 출시한 챗 에이전트 플랫폼의 강점 중 하나가 플랫폼 호환성”이라며 “AICC, 모바일 에이전트 등 향후 출시할 AI 에이전트 플랫폼에 챗 에이전트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AI의 유해성 찾는다”…'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에 1000여명 참여 (0) | 2024.04.12 |
---|---|
뤼튼, 제1회 ‘유저 컨퍼런스’ 개최…“AI 대중화 주도” (0) | 2024.04.11 |
SK매직, 'AI 성장실' 신설 … '펫·실버·헬스케어' 진출 (0) | 2024.04.05 |
채널톡, 생성 AI 챗봇 ‘알프’ 출시..."CS 단순문의 55% 해결" (0) | 2024.04.04 |
세종시, 인공지능 활용 일상화·시민 편의 증진 추진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