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자연어처리를 위해 넘어야 할 세 가지 장벽
인공지능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인간처럼 사용하는 것. 즉, 자연어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언어 중 일부는 이해하지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여럿 있다. 이해하지 못하는 인간의 언어가 결과적으로 완벽하게 자연어처리를 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중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있어 문맥, 문화적 배경, 은유 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동시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문맥 이해: 문맥은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배"라는 단어는 "과일"이라는 문맥에서는 과일을 의미하지만, "배를 타다"라는 문맥에서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은 이러한 문맥적인 차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나 대화를 할 때 인간은 앞뒤 문맥을 파악해서 해당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지 유추할 수 있지만 인공지능은 유추하지 못한다.
2. 문화적 배경: 언어는 그것이 사용되는 문화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단어나 표현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려면 해당 문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서로 섞이지 않는 관계를 ‘물과 기름’의 관계라고 말을 하지만 영국에서 쓰는 영어 표현으로는 ‘chalk and cheese’라고 쓴다.
한국에서는 섞이지 않고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을 물과 기름에 비유한다. 물과 기름은 냄새나 만지면 느낄 수 있는 촉각부터 차이가 있고,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런 표현을 쓴다.
영국에서 ‘chalk and cheese’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13세기 한 상인이 작은 이득을 얻으려고 치즈를 분필로 바꿔치기했는데 아무도 눈치를 못 챘다. 돈에 눈이 먼 상인은 계속해서 치즈 사이에 분필을 섞어서 판매했다. 하지만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 얼마 후 이 상인이 치즈 사이에 분필을 섞어서 판매한 것이 발각되었고, 사람들은 이런 사기에 다시 속지 않기 위해 치즈와 분필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쓴 것이다. 이처럼 문화적 배경을 알아야 해당 단어를 왜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할 수 없다.
3. 은유: 인간은 종종 은유를 사용하여 복잡한 개념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시간은 돈이다"라는 표현은 시간의 가치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이다. 인공지능은 이런 은유적인 표현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려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것을 볼 때 인공지능이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많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현재 기술로서는, 특히 현재 인공지능을 구동하는 ‘폰 노이만’ 컴퓨터에서는 완벽하게 인간의 언어를 처리할 수 없다.
인공지능이 유추를 하지 못하는 이유 (0) | 2023.11.07 |
---|---|
인공지능이 자연어처리를 완벽하게 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0) | 2023.10.13 |
인간과 인공지능의 언어처리 방식의 차이점은? (0) | 2023.10.05 |
인공지능이 자연어처리를 완벽하게 할 수 없는 이유는 (0) | 2023.09.21 |
인공지능이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