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처리

인간과 인공지능의 언어처리 방식의 차이점은?

miracleai 2023. 10. 5. 14:16
반응형

인간과 인공지능의 언어처리 방식의 차이점은?

 

인공지능 구현의 핵심기술이 바로 ‘자연어 처리’다. 자연어 처리는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가 처리하는 것인데, 인간과 인공지능의 언어처리 방식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 중 핵심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 방식:
인공지능 (특히 GPT-4 같은 모델): 대규모의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패턴을 학습한다. 주어진 데이터 내에서 수많은 예제와 상황을 분석하여 언어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한다. 인공지능은 경험에 의한 학습은 불가능하다.
인간: 경험, 문화, 상호작용, 감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언어를 학습한다. 어릴 때부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언어를 습득한다. 그래서 개인마다 언어를 습득하는 방식은 차이가 있다.

2. 이해력:
인공지능: 인공지능은 언어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지만, 그 패턴의 깊은 의미나 감정을 직접 '느끼거나' '이해'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문장에 숨겨진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 인간은 문맥, 의도, 감정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더 깊은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문장의 숨겨진 의도나 시대가 변함에 다라 뜻이 변하는 단어도 시대에 맞게 이해할 수 있다.

 

반응형


3. 감정과 경험:
인공지능: 인공지능은 감정을 가지지 못하고 경험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감정적인 문맥이나 뉘앙스를 완벽히 이해하거나 반영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공지능은 ‘잘한다’와 ‘잘~한다’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인간: 감정, 생각, 경험 등의 복합적인 인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합니다. 인간은 앞뒤 문맥을 파악해서 이 단어가 어떤 말인지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간은 ‘잘한다’와 ‘잘~한다’를 구별할 수 있다.

4. 응용력:
인공지능: 학습한 데이터와 패턴 내에서의 응용이 주로 이루어진다. 새로운 상황이나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제한된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패턴에 없는 내용은 제대로 반응을 할 수 없다.
인간: 유연하게 다양한 상황에서 언어를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창조적인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표현이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5. 진화와 학습 속도:
인공지능: 대량의 데이터와 계산 능력을 활용하여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에 없는 것은 아예 학습할 수가 없다.
인간: 생애 동안 지속적인 학습과 경험을 통해 언어 능력을 발전시킨다. 이는 개인의 경험과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인간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개인마다 학습하는 속도가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점들을 통해 인공지능은 많은 언어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인간의 깊은 문맥 이해, 감정, 창조성 등의 언어 처리 능력을 완벽하게 대체하거나 넘어서는 것은 어렵다. 아무리 인공지능이 자연어처리를 잘한다고 하더라도 인간의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힘들다.

반응형